| 1강 | 
									
										OT
										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7:1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강 | 
									
										회로이론
										 1. 전하, 전류, 전압, 전력, 전력량
2. R, L, C, G와 Z, Y(1)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4:2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. R, L, C, G와 Z, Y(2)
3. 정현파 교류의 벡터표시법, 교류의 크기 표시 및 파형표현(1)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4:1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정현파 교류의 벡터표시법, 교류의 크기 표시 및 파형표현(2)
4. R-L-C 직·병렬 공진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7:3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5. 공진과 필터
6. 직류전력과 교류전력, 최대전력 전달조건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2:5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7. 다상교류
8. Δ-Y 등가변환식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1:2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9. 전압원과 전류원
10. 테브난의 정리와 노튼의 정리
11. 중첩의 원리와 밀만의 정리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6:22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2. Δ결선과 Zigzag결선에서의 제3고조파
13. 프리에급수와 비정현파 계산
14. 전기회로의 과도현상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5:3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강 | 
									
										전력공학
										 1. 4단자 파라미터와 영상파라미터
2. 집중정수회로와 분포정수회로
3. 통신선 유도장해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9: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강 | 
									
										전기기기
										 1. 암페어의 법칙, 패러데이-렌쯔 전자유도법칙, 플레밍의 법칙
2. 전기기기의 손실과 전력케이블의 손실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1:4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1강 | 
									
										전자기학
										 1. 전계와 자계, 전기회로와 자기회로
2. Maxwell 방정식
3. 변위전류
4. 홀효과와 핀치효과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7: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2강 | 
									
										전기응용
										 1. 표피효과와 근접효과, 실효저항
2. 열전효과, 광전효과, 압전효과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2:2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반도체이론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0:52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반도체이론
4. 전력전자소자의 종류 및 특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0:4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5강 | 
									
										계획
										 1. 전기설비의 종류 
2. 수변전설비 설계시 고려사항 
									 | 
									  | 
									20:2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전기설비 신기술 및 신공법
4. 수변전설비 신뢰도 향상대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1:3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7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4. 수변전설비 신뢰도 향상대책
5. 내용연수와 LCC
6. 수변전설비의 예방보전 System
7. 수변전설비 설계시 환경대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5: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8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8. 변압기 용량 선정시 고려사항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0:1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9. 수전방식의 종류
10. Spot Network 수전방식
11. 변전설비 시스템의 구성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4:3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0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2. 수변전설비의 보호방식
13. B/D 변전실 단선결선도(기기의 종류 및 특징)
14. 변전실 설계시 고려사항 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5:4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1강 | 
									
										TR
										 1. 변압기의 원리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6:2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2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. 변압기의 종류를 들고 설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6: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누설 변압기
4. 1:1 변압기
5. K-factor 변압기
6. 변압기의 이행전압
7. 전력용 번압기의 전압조정방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4:5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8. 변압기의 절연방법
9. 변압기의 냉각방식
10. 변압기의 수명과 과부하운전
11. 변압기의 최대효율조건
12. 변압기의 경제적(고효율)운전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8:3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5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3. 변압기 임피던스전압의 영향
14. 변압기 결선방식과 병렬운전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85:4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5. 전력용 변압기의 누설전류가 설비에 미치는 영향
16. 변전설비 열화진단 및 열화 판정기준
17. 변압기 단락강도시험
18. 변압기의 공장입회시험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2:3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7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9. 여자돌입전류에 의한 비율차동계전기 오동작 방지대책
20. 전력용 변압기의 보호대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2: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8강 | 
									
										CB
										 1. 개폐기의 종류 및 기능
2. ALTS, ATS, CTTS, STS, ASS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1: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2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4. GIS
5. 차단기의 종류 및 용도, 선정시 고려사항(1)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4:3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0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5. 차단기의 종류 및 용도, 선정시 고려사항(2)
6. 직류(고속도) 차단기
7. 차단기의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7:5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8. PF의 종류, 동작측정, 정격
9. PF의 선정방법 및 타보호기기와의 보호협조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9: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2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0. MCCB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6: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1. 저압회로의 단락보호기 종류 및 MCCB의 차단협조
12. RCD(ELB)
13. 산업용 및 주택용 차단기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9:1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4. TRV
15. 차단기의 개폐서지 및 대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6:32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5강 | 
									
										고장전류
										 1. 고장전류 계산방법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9:3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. 단락사고시 전동기의 기여전류와 과도리액턴스
3. 단락전류의 종류 및 단락전류 경감대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6:32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7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4. 대칭좌표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1:1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8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5. 발전기 기본식
6. 대칭분 회로
7. 1선 지락전류,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위 상승, 유효접지조건
8.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
9. 선간단락전류가 3상 단락전류의 86.6%
   선간단락시 건전상의 대지전위가 고장상 대지전위의 2배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74:3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3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0. 중성점 접지방식의 종류 및 특징
11. 접지방식별 지락보호방식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7:42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0강 | 
									
										SC
										 1. 무효전력의 의미와 영향
2. 역률개선의 원리 및 효과, 전력용 콘덴서 설치방법과 설치효과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0:1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SC 과보상시 문제점 및 대책
4. SC 개폐시 특이현상
5. SC 자동제어방식의 종류 및 특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7:3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2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6. SVC, SVG
7. 방전코일과 직렬리액터
8. SC 보호방식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3:1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3강 | 
									
										LA
										 1. LA의 종류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8:3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. LA의 주요특성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5: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5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LA 선정 및 설치시 고려사항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5:2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4. 절연협조
5. SA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8:2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7강 | 
									
										계기용 변성기
										 1. 계기용 변성기의 종류 및 특성
2. CT의 원리 및 2차 개방시 이상현상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1:5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8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CT의 정격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3:1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4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4. CT의 종류
5. CT의 결선방법의 종류 및 영상전류 검출법(1)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1: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0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5. CT의 결선방법의 종류 및 영상전류 검출법(2)
6. ZCT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2:12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7. PT의 원리 및 중성점 불안정 현상
8. PT결선방법의 종류 및 영상전압 검출방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1:2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2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9. GPT와 CLR, 비접지 계통의 영상전압과 지락전류(1)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8:4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9. GPT와 CLR, 비접지 계통의 영상전압과 지락전류(2)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1:1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4강 | 
									
										보호계전기
										 10. CPD
<보호계전기>
1. 보호계전기
2. 과전류계전기의 원리 및 동작시간측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5: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5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과전류계전기의 정정
4. 비율차동계전기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6:4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5. 비율차동계전기의 정정
6. 디지털계전기 및 복합계전기
7. 전자화 배전반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8:4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7강 | 
									
										접지설비
										 1. 접지의 목적 및 종류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8: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8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. 접지시스템의 선정방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3:2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5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인공접지극과 자연접지극
4. 대지저항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측정방법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6:3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0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5. 접지저항의 정의와 접지저항 저감방법
6. 단독접지와 공동•통합접지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7:42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7. 등전위 본딩
8. 접지저항 측정방법
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6: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2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9. 인체의 등가임피던스 및 감전의 과정
10. 보폭전압과 접촉전압, 심실세동전류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5:1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1. IEEE Std 80 접지설계 및 시공시 고려사항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4:2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2. KEC 접지설계시 고려사항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6:5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5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3. 도심지 대형빌딩의 접지
14. 의료시설의 접지방식
15. 의료장소별 계통접지
16. 심매설 접지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7:3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6강 | 
									
										피뢰설비
										 1. 피뢰설비 국내 관련법령
2. 뇌방전 형태 및 뇌격전류 파라미터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8:4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7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피뢰시스템의 적용범위 및 구성
4. 외부피뢰시스템
5. 피뢰설비의 자연적 구성부재
6. 고층건물이나 굴뚝의 낙뢰보호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3:5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8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7. 내부피뢰시스템
8. LPZ의 분류 및 LEMP 방호대책인 SPM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5:2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6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9. SPD
10. 낙뢰발생시 뇌서지 보호대책
11. 전기•전자설비의 뇌서지 보호시스템의 구성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6:3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0강 | 
									
										안전보호
										 1. 용어의 정의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18:3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. 계통접지방식의 특징과 감전보호(1)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2:1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2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. 계통접지방식의 특징과 감전보호(2)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4:4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직류계통접지방식
4. 안전을 위한 보호 및 감전에 대한 보호
5.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3:2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6. 과전류에 대한 보호
7. 고압계통 지락사고에 대한 저압설비의 보호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5:5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5강 | 
									
										발전기
										 1. 예비전원의 설치대상과 구비조건, 의료장소의 비상전원
2. 비상발전기 설정시 고려사항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1:2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비상발전기 용량산정방법
4. 발전기의 비교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1:4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7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5. 가스터빈 도입시 검토사항 및 건축물 적용시 고려사항
6. 발전기 병렬운전조건과 병렬운전법
7. 소방부하 전원공급용 발전기의 용량산정방법
8. 발전기의 보호방식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5:2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8강 | 
									
										축전지
										 1. 축전지의 종류 및 특성
2. 축전지설비 설계시 고려사항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1:1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7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축전지의 이상현상
4. 정류기용량과 정류기용 변압기 용량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19:4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0강 | 
									
										UPS
										 1. UPS 용량선정, 병렬운전, 사고시 보호대책
2. on-Line, off-Line, Line Interactive 방식의 비교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7: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정지형 UPS와 회전형 UPS
4. UPS, CVCF, VVVF, VVCF 및 PWM방식과 PAM방식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4:4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2강 | 
									
										에너지 절약
										 1.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국가 및 공공기관의 각종제도
2.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8:4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BEMS
4. Zero Energy Building
5. 수변전 설비의 에너지 절약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8:4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6. 조명설비의 에너지 절약
7. 동력설비의 에너지 절약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5:2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5강 | 
									
										신재생 에너지
										 1. 스마트그리드
2. 신재생에너지의 종류 및 특징
3. 분산형 전원계통 연계시 고려사항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4:5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4. 태양광 발전시스템
5. 태양광 발전용어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8:5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7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6. 태양광 발전 설계시 고려사항
7. BIPV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0:1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8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8. 수상 태양광 발전설비
9. 풍력발전시스템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3:5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8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0. 연료전지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11: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0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1. 전기자동차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7:5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2. ESS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18:4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2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3. 초전도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9:1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3강 | 
									
										전력간선
										 1. 전력케이블의 종류 및 측정
2. 전력케이블의 차폐층 설치효과 및 차폐층 접지방식
3. 전기재료의 유전특성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4:1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4. 전력간선설계시 고려사항
5. 배전방식의 비교
[참고사항 : 94강~96강은 촬영오류로 대체된 영상입니다]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8: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5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6. 전기방식별 전력손실, 전압강하, 전선단면적
7. 선로의 전압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8. 전압강하율과 전압변동률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6: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9. 교류배전과 직류배전
10. 지중전선로 시설방법
11. 배선의 부설방식 비교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3: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7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2. 케이블 트레이 시설조건과 선정
13. 케이블 트렌치 공사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2:5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8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4. 부스덕트 선정 및 시공시 고려사항
15. OA 배선 부설방식
16. 초고층 B/D의 수직간선설비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4:5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9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7. 전력용 통신용  EPS설계 및 시공시 고려사항
18. 분전반 설치시 고려사항
19. 중성선 기능과 단면적 선정방법
20. 동상 다주조 케이블의 전류불평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0:37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0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1. 콘센트 설계와 설치방법
22. 비상콘센트 설비
23. 전력케이블의 열화진단방법(1)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6:4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23. 전력케이블의 열화진단방법(2)
24. 전력케이블의 고장점 측정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19:5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2강 | 
									
										전력품질
										 1. 전력품질 안정화장치의 종류
2. 순시전압강하의 원인, 영향, 대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4:1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3. 고조파의 발생원리, 영향, 대책
4. 고조파가 콘덴서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9:2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4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5. 고조파가 변압기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
6. 고조파가 회전기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20:4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5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7. 중성선에 흐르는 영상분고조파의 발생원리, 영향, 대책
8. 고조파 관리기준
9. 고조파 발생원이 많은 수용가에서 역률개선방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0:11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6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10. 전자파 장해(EMI)의 발생과 대책
11. 노이즈의 발생과 대책
12. 정전기 장해의 발생과 대책
13. 안정도와 과도불안정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6:54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7강 | 
									
										조명이론
										 1. 조명용어
2. 연색성과 색온도
3. 시감도, 순응, 퍼킨제 효과
4. 명시론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0:8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8강 | 
									
										광원
										 1. 온도방사이론과 할로겐 램프
2. 루미네슨스와 방전등의 점등원리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59:15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09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[기존강의 대체]
3. LED
4. OLED
5. 조명용 광원의 종류 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3:59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10강 | 
									
										조명설계
										 [기존강의 대체] 
1. 전방조명 설계시 고려사항
2. 단위구역별 평균조도 측정방법
3. 조명기구와 조명방식
4. 건축화조명
5. 빌딩 조명제어방식 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2:6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11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[기존강의 대체] 
6. 경관조명 설계시 고려사항
7. 터널조명 설계시 고려사항
8. 도로조명 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32:3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12강 | 
									
										동력설비
										 [기존강의 대체]
1. 직류전동기의 원리 및 특성
2. 직류전동기의 기동법 및 속도제어
3. 유도전동기의 원리 및 특성 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40:0 |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  
									| 113강 | 
									
										
										 [기존강의 대체]
4. 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 및 제동방식
5.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방식
6. 동기전동기의 원리 및 특성
7. 전동기 보호방식
8. 3상 유도전동기 결상시 과부하율과 무정전전원공급장치 
									 | 
									 | 
									63:3 |